본문 바로가기

Mistakes 흔히 잘못 쓰이는 영어

[영어 오해 / 실수 #1] Must 해야 한다? 추측의 Must!

초중고를 거치면서 우리는 'Must' 뜻을 '해야 한다'로 흔히 배워왔는데요. '해야 한다' 말고 훨씬 자주 쓰이는 뜻이 따로 있다는 것을 알고 계셨나요? 

 

 

Must : (원인 혹은 결과를 추측할 때 사용) ~하나봐, ~하겠다

 

예)

You must be tired. 너 피곤하겠다

She must be rich. 걔 부잔가봐

He must be playing the piano tomorrow. 걔 내일 피아 노치겠다

 

 

우리가 추측할 때 부정적인 상황을 추측할 수도 있는데, 그럴 경우는 어떻게 쓸까요? 동일한 예시로 살펴볼까요?

 

 

1. 부정 추측 : Must not (Musn't로 축약하여 쓰지 않음)

 

예)

You must not be tired. 너 피곤하지 않은가 봐

She must not be rich. 걔 부자가 아닌가 봐

He must not be playing the piano tormorrow. 걔 내일 피아노 안 치겠다

 

 

현재 상황뿐만 아니라 과거를 추측하는 경우가 있죠? 그럴 경우, Must를 어떻게 활용하는지도 볼까요?

 

 

2. 과거 추측 : Must have pp (긍정) / Must not have pp (부정)

 

예)

You must have had books yesterday. 너 어제 책을 갖고 있었겠다 (yesterday를 씀으로써 어제 시점에 그랬다는 느낌)

You must have had books. 너 책을 갖고 있었겠다 (과거 시제를 씀으로써 과거 평소에 그랬다는 느낌)

You must not have had books. 너 책을 갖고 있지 않았겠다 (마찬가지로 과거 평소에 그랬다는 느낌)

 

 

미래를 추측하는 경우도 있을 텐데요? 그럴 때는 'I guess'가 앞에서 느꼈던 must의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. 즉 '미래에 ~ 하겠다/하겠네' 하는 추측의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.

 

 

3. 미래 추측 : I guess + 미래 시제

 

예)

I guess you'll be late. 너 늦을 것 같은데

I guess he's going to be here soon. 걔 곧 도착할 것 같은데

I guess you'll have a headache. 너 머리가 아플 것 같은데

 

 

이상 추측의 Must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. Must는 구어체, 즉 대화에서 훨씬 많이 쓰이는 만큼 상기 내용을 익혀서 실제 대화에 활용해 보세요~!